몇 달 전에 개인프로젝트를 시작할 때 궁금해서 정리해 봤던 주제에 대해 새싹 세션에서도 언급이 되어서 이 기회에 블로그에도 정리해 본다! 개인 프로젝트 당시, 레퍼런스로 봤던 레포지토리에서 namespace를 enum의 타입 프로퍼티 (static let)으로 작성해 둔 것을 보고 왜 굳이 enum안에서 타입프로퍼티로 정리를 해놓는 걸까 생각했었던 적이 있었다. 이유가 궁금해서 찾아보게 되었고 네임스페이스를 정의하는 몇 가지 방법들과 각 방법들의 단점과 장점에 대해 정리했었는데, 블로그에도 남겨놓으려 한다 이전까지 나는 enum의 rawValue를 활용해서 case로 각각 필요한 문자열 같은 것에 대해 정리해주고 있었었다. 기본적으로 우리가 알고 있는 것처럼 enum은 같은 주제의 값들을 모..